Computer Science/Linux

리눅스 기본 개념

하효닝 2022. 2. 27. 01:31

기본 개념

가상 콘솔

  • 가상 콘솔이란 가상의 모니터로, 우분투는 총 6개의 가상 콘솔(2번~7번)을 제공한다.
  • 즉, 컴퓨터 1대에 모니터가 7개 연결된 효과를 낼 수 있다.
  • 가상머신을 부팅하면 X 윈도가 자동으로 실행되는데, X 윈도가 가동된 화면은 6개의 가상 콘솔 중 2번째이다.
  • 나머지 가상 콘솔은 텍스트 모드로 제공되며, 각각의 가상 콘솔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Alt+(F2~F7)

 

런레벨

  • init 명령어 뒤에 붙는 숫자를 런레벨이라고 부르며, 리눅스는 시스템이 가동되는 방법을 7가지 런레벨로 나눈다.
런레벨 영문 모드 설명
0 Power Off 종료 모드
1 Rescue 시스템 복구 모드
2 Multi-User 사용 X
3 Multi-User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4 Multi-User 사용 X
5 Graphical 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6 Reboot  

 

디스크 파티션

  • 리눅스 파티션은 루트 파티션이라고 부르는 / 파티션과 swap 파티션 2개만 있어도 운영이 가능하다.
  • 루트 파티션만 생성하면 /boot, /etc, /usr, /tmp, /var, /home 등 나머지 파티션이 모두 루트 파티션 아래에 종속된다.
  • swap 파티션은 RAM 부족 시 사용되는 공간으로 RAM의 2배 정도의 크기로 설정한다.

 

마운트

  •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CD/DVD, USB 메모리 등을 사용하려면 지정한 위치에 연결해줘야 한다.
  •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한 위치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마운트라고 한다.

 

 

기본 명령어

명령어 설명
ls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
cd 디렉터리를 이동한다.
pwd 현재 디렉터리의 전체 경로를 화면에 보여준다.
rm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한다.
cp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한다.
touch 크기가 0인 새 파일을 생성하거나, 이미 파일이 존재한다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변경한다.
mv 파일이다 디렉터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다른 디렉터리로 옮길 때 사용한다.
mkdir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rmdir 비어있는 디렉터리를 삭제한다.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를 삭제하려면 mkdir -r)
cat 파일 내용을 화면에 보여준다.
head, tail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된 파일의 앞 10행 또는 마지막 10행만 화면에 출력한다.
more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된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화면에 출력한다.
less more 명령어와 용도가 비슷하지만 기능이 더 확장되어 있다.
file 해당 파일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 표시해준다.
clear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 화면을 깨끗이 지워준다.

 

vim 명령어


 

사용자 관리

사용자와 그룹

  •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1대의 리눅스에 사용자 여러 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 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 유저가 있는데, root 사용자에게는 시스템의 모드느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 모든 사용자는 혼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 있어야 한다.

 

명령어

명령어 설명
addusr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한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에 새로운 행이 추가된다.
passwd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usermod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한다.
userdel 사용자를 삭제한다.
change 사용자의 암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설정한다.
groups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을 보여준다.
groupadd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groupmod 그룹의 속성을 변경한다.
groupdel 그룹을 삭제한다.
gpasswd 그룹의 암호를 설정하거나 그룹 관리를 수행한다.

 

파일 속성

파일 유형

  • d 디렉터리
  • - 일반 파일
  • b 블록 디바이스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DVD 등의 저장장치)
  • c 문자 디바이스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등의 입출력장치)
  • l 링크

 

파일 허가권

  • 파일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는 chmod로, root 사용자 또는 해당 파일의 소유자만 실행할 수 있다.

 

파일 소유권

  • 파일 소유권은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와 그룹을 의미하며, 파일의 소유권을 바꾸는 명령어는 chown

 

명령어

명령어 설명
xz 확장명 xz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bzip2 확장명 bz2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gzip 확장명 gz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zip, unzip Windows와 호환되는 확장명 zip으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tar 확장명 tar로 묶음 파일을 만들거나 묶음을 풀어준다.